생활.정보.상식

[스크랩] 용신(用神)이란?

발길 머문는 곳 2010. 3. 5. 00:53

용신(用神)의 의미
 
용신(用神)이란 자신(日干)에게 가장 필요하고 소중한 기운[五行]을 의미합니다.
사주(四柱)가 약하면 도와주는 오행(五行)이 용신(用神)이 되고 사주가 강하면 일간(日干)을
극제(剋剋制)하거나 설기(泄氣)하는 오행(五行)이 용신(用神)이 됩니다.
고서에 용신(用神)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격국(格局)은 신체와 같고, 용신(用神)은 정신과 같다는
말도 있습니다.
용신(用神)이란 인생의 길흉화복을 측정하는 척도가 되니 용신(用神)을 똑바로 잡는 일이야말로
명리(命理)를 푸는 가장 중요한 관건이 됩니다.
 
신왕(身旺), 신강(身强)
 
일간(日干)의 기운이 강한가 약한가를 구분하여 신왕(身旺), 신약(身弱)을 구분합니다.
 
* 신왕(身旺) : 월지(月支)에 나와 같은 오행인 비견, 겁재가 있는 경우, 또는 일간(日干)을 생(生)
                      하는 오행인 정인, 편인이 있는 경우 등을 신왕(身旺)하다고 합니다.
* 신약(身弱) : 반대로 월지(月支)에 일간(日干)이 생(生) 해주는 식신, 상관이 있는 경우, 또는
                      일간(日干)을 극(剋)하는 정관, 편관이 있는 경우 등을 신약(身弱)하다고 합니다.
 
용신, 희신, 기신, 구신의 구분
 
- 용신(用神) : 일간(日干)이 신약(身弱)하면 인성이나 비겁이 용신(用神)이고, 일간이 강하면
                    설기(洩氣)해 주는 식상이나 극제(剋制)하는 관살이 용신이 됩니다.
- 희신(喜神) : 용신(用神)을 도와서 생(生)해 주거나 설기(洩氣) 해주는 오행입니다.
- 기신(忌神) : 용신(用神)을 극(剋)하는 오행입니다.
- 구신(仇神) : 용신(用神)을 극(剋)하는 기신을 생(生)하여 주는 오행입니다.
 
 
십이운성 중에서 가장 기운이 왕성하고 활동적입니다.
사람이 성장하여 세상을 다스리는 것과 같이 활동의 중추가 되는 상태를 지칭합니다.
 
용신법(用神法)
 
용신은 사주상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터라 명(命)을 간명하는데 용신을 찾는
것은 가장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용신을 찾는 방법에는 억부(抑扶) 용신법, 병약(病藥) 용신법, 조후(調候) 용신법, 전왕
(專旺) 용신법, 통관(通關) 용신법이 있습니다.
 
억부(抑扶) 용신법
 
한 쪽으로 치우친 것을 바로잡아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방법으로 일간(日干)이 강하면 극제
(剋制)해주는 것이나 설기(洩氣)하는 것을 용신으로 하고 반대로 일간(日干)을 신약하면
북 돋아 주는 것을 용신으로 삼는 것입니다.
 








 
갑목(甲木) 일주(日主)가 신약하면 도와주는 수(水)가 용신이며 갑목(甲木) 일주가 신왕하면
극하는 경금(庚金)을 용신으로 하거나 설기하는 병(丙)을 용신으로 삼는 것입니다.
 
위 사주에서는 일간 갑목(甲木)을 생(生) 주는 수기(水氣)가 용신이 됩니다.
 
조후(調候) 용신법
 
사주 구성의 계절, 즉 한습조열(寒濕燥熱)을 살펴서 용신을 정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겨울생은 추우니 따뜻한 것을 말하며 여름생은 더우니 시원하게 해주어야 하고 건조하면
적셔주고 습하면 말려주는 것을 말한다.
즉 겨울생은 火를 용신으로 하고 여름생은 水를 용신으로 삼는 것을 말합니다.
 








 
* 午月은 火氣가 과열한 시기로 이를 調候하는 癸水가 用神이 됩니다.
 
병약(病藥) 용신법
 
사주가 신약하면 일주(日主)를 생(生) 해주는 오행을 용신으로 삼는데 그 오행을 극하는
오행을 병신(病神)이라 하고 다시 그 병신을 극제하는 오행을 약신(藥神)으로 삼는 방법을
말합니다.
즉, 갑목(甲木)이 용신인데 경금(庚金)이 나와 극하면 이 경금(庚金)을 병신, 흉신이라
하고 다시 병신인 경금(庚金)을 극(剋)하는 정화(丁火)가 있으면 약신이라 합니다.
 








 
일간 정화(丁火)에 월령의 편재 유금(酉金)이 왕합니다.
기토(己土) 식신이 정관을 극하나 시주(時柱)의 갑목(甲木)이 병신을 제거하니 용신으로 하는
것입니다.
 
전왕(專旺) 용신법
 
사주에 나타나 있는 오행이 한 두가지 오행으로만 집중되어 그 세력이 막강할 때에는 대세에 순응
하는 기운이 용신이 됩니다.
예를 들면, 일간이 목(木)이고 나머지 대부분이 화(火)기운으로 이루어진 사주라면 식상인 화(火)를
용신(用神)으로 하는 법입니다.
 
통관(通關) 용신법
 
사주상에서 서로 극(剋)하는 오행이 비슷한 세력을 갖고 있을 때 이를 소통 시켜주는 것을 용신
(用神)으로 삼는 것을 말합니다.
즉, 金과 木이 싸울 때 水를 용신으로 삼는다거나 火와 水가 싸울 때 木을 용신으로 삼아 水生木,
木生火 시켜서 싸움을 말려주는 용신법(用神法)입니다.
 
용신(用神)을 바르게 판단하는 것은 사주명리(四柱命理)를 추명 하는 것 뿐만 아니라 작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행의 생극제화(生剋制化), 음양(陰陽)의 생왕사절(生旺死絶)의 기본 원리를 정확하게 알아

판단해야 합니다.

 

용신의 활용

 

용신을 찾은 다음에는 그 용신 오행을 가지고 사주 주인공의 삶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활용해야 한다. 용신 활용법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오행용신 활용법이고 다른 하나는 운용신 활용법이다. 오행용신 활용법은 오행에 나타난 색상이나 방향을 의상이나 실내 인테리어 등에 활용하여 삶의 질이나 건강으 향상시키는 것이고, 운용신 활용법은 대운이나, 세운, 월운,일운 등을 통해서 직업의 변동, 일의 변동, 복의 유무 등 다양한 인간사를 알아보는 것이다.

오행용신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바로 용신을 의상 코디, 실내 인테리어, 풍수 등에 활용하는 것이다. 평소 입는 옷의 색상, 집이나 방 그리고 사무실의 문 방향 등 사주팔자에 맞는 용신 오행의 색상과 방향을 제대로 활용한다면 건강 향상 및 삶을 질 향상에 큰 도움이 된다.

여기에 일반적인 오행용신 활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목(木)용신

 청색 계통(파랑, 초록, 연녹색)의 옷을 입는다.

 청색 계통의 색상으로 실내 인테리어를 한다.

 목제 책상을 사용한다.

 책상이 동쪽을 향하게 놓는다.

 침대는 머리가 동쪽을 향하게 놓는다.

 나무, 숲 등의 그림이나 청색 계통의 그림을 걸어 놓는다.

 실내에 화분을 놓는다.

 동쪽으로 난 대문, 현관문, 방문, 가게문, 공장문이 좋고 다른 방향은 막혀 있으면 좋다.

 

화(火)용신

 적색 계통(빨강, 분홍)의 옷을 입는다.

 적색 계통의 색상으로 실내 인테리어를 한다.

 목제 책상을 사용한다.

 책상이 남쪽을 향하게 놓는다.

 침대는 머리가 남쪽을 향하게 놓는다.

 태양, 노을 등 불이나 적색 계통의 그림을 걸어 놓는다.

 실내에 벽난로를 놓는다.

 남쪽으로 난 대문, 현관문, 방문, 가게문, 공장문이 좋고 다른 방향은 막혀 있으면 좋다.

 

토(土)용신

 황색 계통(노랑, 황토색, 갈색)의 옷을 입는다.

 황색 계통의 색상을 이용하여 실내 인테리어를 한다.

 책상은 목제나 철제 모두 무방하지만 사주 상황에 따라 결정된다.

 책상은 어느 방향에 놓든 무방하지만 사주 상황에 따라 결정된다.

 침대는 어느 방향에 놓든 무방하지만 사주 상황에 따라 결정된다.

 들판, 사막 등 땅이나 황색 계통의 그림을 걸어 놓는다.

 마당이 있는 집이나 황토집이 좋다.

 

금(金)용신

 백색 계통(하양, 회색, 상앗빛)의 옷을 입느다.

 백색 계통의 색상으로 실내 인테리어를 한다.

 철제 책상을 사용한다.

 책상이 서쪽을 향하게 놓는다.

 침대는 머리가 서쪽을 향하게 놓는다.

 바위산, 기차, 비행기 등 금속이나 백색 계통의 그림을 걸어 놓는다.

 금속성 장식품을 놓는다.

 서쪽으로 난 대문, 현관문, 방문, 가게문, 공장문이 좋고 다른 방향은 막혀 있으면 좋다.

 

수(水)용신

 흑색 계통(검정, 보라색)의 옷을 입는다.

 흑색 계통의 색상으로 실내 인테리어를 한다.

 철제 책상을 사용한다.

 책상이 북쪽을 향하게 놓는다.

 침대는 머리가 북쪽을 향하게 놓는다.

 바다, 강, 호수 등 물이나 흑색 계통의 그림을 걸어 놓는다.

 실내에 수족관을 놓거나 마당에 작은 저수지나 샘이 있으면 좋다.

 북쪽으로 난 대문, 현관문, 방문, 가게문, 공장문이 좋고 다른 방향은 막혀 있으면 좋다.

출처 : 福 祿 仁 壽
글쓴이 : 수리장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