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우원애 리포터] 교수들이 뽑은
올해의 사자성어에 `
장두노미`(藏頭露尾)가 선정됐다.
12월19일 교수신문은 지난 8일부터 16일까지
전국 각 대학 교수 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전체의 41%의가 올해의
사자성어로 `장두노미`를 꼽았다고 전했다.
장두노미`(藏頭露尾: 감출 장, 머리 두, 드러낼 노, 꼬리 미)
란 머리는 숨겼지만 꼬리는 숨기지 못하고 드러낸
모습을 뜻하는 말로 쫓기던 타조가 머리를 덤불
속에 처박고서 꼬리는 미처 숨기지 못한 채
쩔쩔매는 모습에서 생겨난 사자성어 이다.
진실을 밝히지 않고 꼭꼭 숨겨두려 하지만
그 실마리는 이미 만천하에 드러나 있다는
뜻으로 속으로 감추는 것이 많아서 행여 들통날까봐
전전긍긍하는 태도를 뜻하기도 한다.
교수들은 올해 4대강 논란, 천안함 침몰,
민간인 불법사찰, 영포 논란,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협상, 예산안 날치기 처리 등 많은 사건이 있었지만
그때마다 정부는 국민을 설득하고 의혹을 깨끗이
해소하려는 노력보다 오히려 진실을 감추려는
모습을 보였다며 `장두노미` 선정 배경을 밝혔다.
한편 교수들이 뽑은 올해의 사자성어에는 `
장두노미`에 이어 갈등과 정세 변화가 심했던
국내외 상황을 표현한 `반근착절`(盤根錯節, 서린)
뿌리와 뒤틀린 마디 얽히고 설켜 해결하기 어려움)이
응답자 20%의 지지를 얻어 2위에 올랐고
골육상쟁의 관계를 상징하는 `자두연기`
(煮豆燃豆萁, 콩을삶는 데 콩깍지를 태운다:
형제간의 다툼을 뜻함)가 12%로 3위에 올랐다.
올해의 사자성어는 한문학 등 관련 전공
교수 10명한테서 사자성어 20개를 추천받은 뒤
교수신문 논설·편집 기획위원 15명이 5개의 성어를
추려내 설문조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네티즌들은 "진실은 숨기려고 해도 드러난다..
올해 딱 어울리는 사자성어네요" "
아무리 감추려 해도 드러날 건 반드시 드러나겠죠"
이 사자성어에 속이 뜨끔! 한 사람 많을 겁니다"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2001년: 안개 속을 헤매는
'오리무중(五里霧中)'
2002년: 싸우고 뭉치고 또 싸우던
'이합집산(離合集散)'
2003년: 갈 길 모르고 헤매던,
' 우왕좌왕(右往左往)'
2004년: 옳고 그름의 여하간에 한 무리에 속한 사람들이 다른 무리의 사람들을
무조건 배격한다는, 막가파식 흠집 내기 전쟁판,
'당동벌이(黨同伐異)'
2005년: 위에는 불, 아래에는 못. 불이 위에 놓이고 못이 아래에 놓인
모습으로 사물들이 서로 이반하고 분열한다는, 분열의 극을 치닫던
'상화하택(上火下澤)'
2006년: 하늘에 구름만 빽빽하고 비가 되어 내리지 못하는 상태의,
냄새만 피우고 쇼만 벌여
'밀운불우(密雲不雨)'
2007년: 자신을 속이고 남을 속인다는,
믿을 놈 하나 없던
'자기기인(自欺欺人)'
2008년: 병을 숨기면서 의사에게 보이지 않음. 즉 문제가 있는데도
다른 사람위 충고를 듣지 않는다는, 썩을 대로 썩은 질환도 숨기던
'호질기의(護疾忌醫)'
2009년: 샛길과 굽은 길로서 먾은 사람들이 다니는 큰 길이 아니라는,
편법만 난무하던
'방기곡경(旁岐曲逕)'
2010년: 쫓기던 타조가 숨기 위해 덤불 속에 머리만 처박고는
안 보일 것이라 생각하며 자가당착에 빠지는 우둔한 모습을 묘사한
'장두노미(藏頭露尾)'
'생활.정보.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로또꿈과 연결된 로또사물번호 V080921 ( 전국 공통 꿈해몽수 ) (0) | 2011.01.05 |
---|---|
[스크랩] 명리시작 -간지 22글자 (0) | 2011.01.04 |
우리나라에서 나는 약초와 산나물 총모음 | (0) | 2010.12.30 |
연평도 도발 ( 데프콘, 워치콘, 진돗개의 차이) (0) | 2010.12.03 |
생활정보 (0) | 2010.12.01 |